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Content
- 요청 헤더
- 프로토콜
- 카우치코딩
- 박스모델
- 선택자
- connectionless
- HTTP
- HTTP 메시지
- 콘텐츠 영역
- couchcoding
- 서버
- 6주포트폴리오
- 클라이언트
- IP
- CSS
- border
- 바깥쪽 여백
- 팀프로젝트
- URL
- 응답 헤더
- 안쪽 여백
- 클라이언트와 서버 구조
- padding
- margin
- 협업프로젝트
- 경계선
- 무상태
- HTML
- HTTP 메시지 바디
- Today
- Total
목록HTTP (13)
정리하고 기록하며 성장하는
URI 리소스를 식별하는 통합적인 방법 즉 , 자원자체를 식별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URL 리소스가 있는 위치를 지정 URN 리소스에 이름을 부여 URL 분석 https://www.google.com/search?q=hello&hl=ko url 전체 문법 scheme://[userinfo@]host[:port][/path][?query][#fragment] ://:@:/?# schema : 주로 프로토콜이 사용된다 프로토콜 : 클라이언트와 서버간 약속 규칙 어떤 방식으로 자원에 접근할 것인가 http : 80 포트를 기본으로 쓴다 https : 443 포트를 주로 사용한다 http 나 https를 쓰면 포트는 생략이 가능하다 지금은 대부분의 웹사이트 들이 https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호스트명 : 도메인명..
PORT 서버 안에서 돌아가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분할 때 사용하는 것이 PORT이다 목적 네트워크 상에서 통신 할때 IP를 토대로 해당 서버가 있는 컴퓨터에 접근한다 그런데 대부분의 경우 하나의 컴퓨터에는 여러개의 서버가 실행될 수 있다 컴퓨터에서 여러개의 서버가 실행되고 있다면 어느 서버에 접속해야 하는지 컴퓨터에 알려줘야 한다 포트 번호 컴퓨터에서 실행되고 있는 서버를 구분 짓기 위한 16비트의 값 DNS 서버의 전화번호부 같은 역할을 한다 목적 IP를 기억하기 어렵거나 IP가 변경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메인 이름 시스템은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도메인 이름을 기계가 읽을 수 있는 IP 주소로 변환해 준다 클라이언트가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면 DNS 서버에 저장된 IP 주소를 찾아서 응답해 준다
User Datagram Protocol PC나 서버 등에 도달한 데이터를 적절한 애플리케이션에 배분하는 기능만 있는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UDP는 상대방의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지 확인하지 않은 채 무조건 UDP 데이터그램으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러한 특성상 , 보내고 싶은 UDP 데이터그램이 상대방 애플리케이션까지 제대로 도달했는지 확인할 방법이 없다 만약 데이터가 도달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면 , 애플리케이션에서 그런 기능을 만들어 넣어야 한다 UDP 데이터 형식 출발지 포트 번호 도착지 포트 번호 데이터그램 길이 체크섬
컴퓨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계층들 컴퓨터 네트워크에서는 다양한 통신 장비와 프로그램이 어울려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이렇게 통신에 참여하는 여러 장비나 프로그램은 각각 맡은 역할이 있다 이 역할들을 이해하기 쉽게 분류하고 추상화한 것을 계층 모델 이라고 한다 인터넷 프로토콜 스택의 4계층 애플리케이션 계층 - HTTP , FTP 전송 계층 - TCP , UDP 인터넷 계층 - IP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 4개 계층의 동작 방식 애플리케이션 계층 사용자가 실제로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에 속하는 프로그램이고 , 이때 주고받는 데이터는 페이지를 요청하는 URL과 그 응답 결과로 전달되는 웹 페이지 데이터 이다 트랜스포트(전송) 계층 애플리케이션 계층의 프로..

인터넷에서 서버와 클라이언트는 어떻게 통신할까? 서버: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들 중 서비스를 제공하는 쪽 클라이언트: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들 중 서비스를 받는 쪽 IP 주소의 등장 배경 서버와 클라이언트는 인터넷 망을 통해 통신하는 데 인터넷 망이 복잡하다 복잡한 인터넷 망에 규칙을 부여해 놓은 것이 IP 주소 이다 IP(Internet Protocol) 주소는 32비트 숫자로 구성되 있다 사람이 알아볼 수 있게 네 개의 8비트 숫자로 마침표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클라이언트 와 서버 각각 IP 주소가 있어야 서로 통신할 수 있다 IP 주소를 사용하는 목적 지정된 IP 주소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사용한다 데이터를 주고 받을때 패킷(Packet)이란느 작은 단위로 분할 한 후 조고받는다 패킷은 자신이..